강원지역 주력산업 분야에 투입가능한 혁신인재양성을 위한
강원지능화혁신센터(KICRC)
강원지능화혁신센터 참가_[WIS 2025] 인재양성대전 '첨단바이오·헬스케어'
작성일 : 2025-04-25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1

[WIS 2025] 인재양성대전 '첨단바이오·헬스케어'
국내 주요 대학 바이오·헬스케어 관련 연구센터는 인공지능(AI),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료·헬스 관련 기기와 서비스, 기술을 전시한다.
전남대 초광역 연합 의료 AI 연구센터는 연합학습·멀티모달 기반 의료 AI 기술 혁신을 소개한다. 모세혈관 형태 분석으로 혈액 채취 없이 질병을 진단하는 기술과 적은 데이터로도 고성능을 내는 준지도학습 기반 의료 영상 분할, 저선량 제한 각도 CT 기술이 대표적이다. 또 멀티모달 데이터 기반 알츠하이머 진행 예측 AI, 의료데이터 보안을 위한 VR 블록체인 시스템도 선보인다.
또 고려대 스마트시티 지능형 헬스케어 연구센터는 스마트시티에 활용할 수 있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구 성과를 선보인다. 이 센터는 침습·비침습 생체데이터 기반 건강 바이오마커 검출 기술을 확보하고, 스마트시티에 활용할 수 있는 생체데이터 측정 및 진단 디바이스를 개발하고 있다.
아주대는 지능형 의료 영상 진단 솔루션을 들고 나온다. 영상시스템 특성 기반 신호처리 기술, 의료 영상의 의미 정보가 융합된 임상 빅데이터 분석 기술, 진단 및 수술 정밀도 향상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의료 영상 시각화 기술, 지능형 진단을 위한 딥러닝 모델 최적화 및 연산 엔진 기술이 통합된 지능형 의료 영상 진단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다.
몸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제품 중 귀에 착용하는 이어러블(Earable) 기술을 활용한 건강 관리 솔루션도 소개된다. KAIST 일상-항시적 건강관리 Earable-IoT 연구센터는 이어러블 기기를 중심으로 건강·의료 분야 웨어러블 플랫폼을 설계, 개발하고 있는데 관련 기술을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다.
이와 함께 UNIST 5T-SPACE 연구센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비대면 원격 진료 서비스 기술 요소를 소개한다. 바이오데이터, 컴퓨팅, AI 알고리즘, 5G 네트워크, 사이버 보안 등 5가지 기술을 융복합해 비대면 원격 진료를 구현한다. 이를 통해 만성질환 조기 예측 및 지속적인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성균관대 ICT명품인재양성사업단은 신체부착형 센서 및 디바이스, 신경 인터페이스, 미래 컴퓨팅을 위한 멤리스터 소자, AI를 활용한 거대 언어모델 및 환경적응 딥러닝 기술, 챗봇 인터페이스, 멀티모달 명령 수행 기술과 함께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눈, 간, 폐, 알츠하이머, 뇌혈관 질환의 분석, 진단 등 다양한 의료분야 응용 기술을 전시한다.
아울러 강원대 강원지능화혁신센터(KICRC)는 AI와 ICT 기술을 결합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반 다양한 의료기기를 소개한다. AI를 활용한 다양한 산업 분야의 혁신 가능성을 보여줄 예정이다. 이와 같은 연구 성과는 강원 지역 산업 전환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현정 기자 iam@etnews.com